광고 이미지
건강해요

입속 세균이 '침묵의 살인자' 췌장암 부른다, 예방법은?

 
단순한 충치, 잇몸병의 원인으로만 여겨졌던 입속 세균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췌장암 발병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치질과 함께 '치실 사용'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한 예방법이 될 수 있다.
 
최근 미국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은 구강 내 유해 세균과 곰팡이가 침을 통해 췌장으로 이동, 염증을 유발하여 췌장암 발병 위험을 최대 3배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900명의 참가자를 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췌장암 환자의 구강 샘플에서 건강한 사람들과는 다른 특정 세균과 곰팡이가 발견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잇몸과 턱뼈를 손상시키는 '치주염 유발균'과 곰팡이균 '칸디다'가 구강 내에서 과도하게 증식할 경우 췌장암 발병률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리처드 헤이즈 박사는 "양치질과 치실 사용은 잇몸병뿐 아니라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구강 위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 내 미생물 구성을 분석해 췌장암 고위험군을 조기에 파악하는 진단 도구 개발의 가능성도 제시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결과는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췌장암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구강 관리를 조언한다. ▲양치 전 치실 사용 ▲칫솔을 잇몸과 치아 경계에 45도 각도로 대고 2분 이상 꼼꼼히 닦기 ▲혀의 세균막(설태) 제거 ▲3개월마다 칫솔 교체 등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췌장암은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매우 어렵고, 진단 후 1년 내 사망률이 절반에 달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황달, 짙은 소변 색, 지속적인 피로감, 복통 등이 주요 증상으로 꼽힌다.
리스트로 돌아가기